- [연재] 글로벌드라이브프로젝트 [16] 르완다의 성장가능성 있는 사회적 기업/인클루시브 비즈니스를 발굴하기 위한 미팅
- 2013.12.17
Rwanda scouting meetings of potential Social Enterprises/ Inclusive Businesses
르완다의 성장가능성 있는 사회적 기업/인클루시브 비즈니스를 발굴하기 위한 미팅
글로벌 드라이브 프로젝트(Global Drive Project)는 2013년 4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우리나라를 시작으로 아시아, 유럽을 거쳐 아프리카 까지 총 3개 대륙, 20여 개국을 탐방하며, 세계 각지의 핵심적인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ment)를 연계할 목적으로 100여개 사회적기업 투자처 및 인클루시브 비즈니스를 발굴하는 프로젝트이다.




국가: 르완다
|
날짜: 2013년
11월
|
인구: 11,460,000 명
|
GDP: $ 7,103,000,000
|
빈곤선이하인구: 44.9%
|
GDP성장률: 8% ( 2012년)
|
실업률: 30%
|
인플레이션: 6.3% (2012년)
|
최저임금: 공식적으로 르완다에는 최저임금이 없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1974,1973, 혹은 1972년
노동법에
포함된
최저임금(RwF 100)이 사용되고
있다.
(RwF 100=$0.148)
|
문해능력: 71%
(2007-2011년)
|
최소대출금리: 17.8%
(르완다의 국립은행)
|
|
직종별노동인구: 농업: 90%, 제조업,서비스업 10% (5,300,000명)
|
|
주요산업: 시멘트, 농산품, 소규모
음료, 비누, 가구, 신발, 플라스틱상품, 직물, 담배, 관광
|
|
주요수출품: 커피, 차, 가죽, 아연광
|
|
주요수입품: 식품류, 기계장비, 강철, 석유제품, 시공재료
|
◐ 직면한
주요
사회/환경 이슈
– 청년실업
– 빈곤(해외원조의존도?예산의 40%)
– 영양실조
◐ 사회적기업가 정신을 촉진하는 프로그램 및 기관
1. Educat (책임자: Mr. Jon Kraabøl)

Educat의 미션은 사회적기업가, 지도자, 체인지메이커들이
그들의
꿈을
좇고, 대담하게
혁신적이
되고, 일상의
틀에서
벗어나도록
도전의식을
북돋고
지원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활동은
번창하는
사업의
창조와
일자리창출을
촉발시키기
위한
것이다.
Educat은 다음과 같은
활동에
관여한다. 훈련, 자문, 옹호, The REAL Business Accelerator(사업 가속
프로그램), The REAL Entrepreneurship Award(기업가정신 상
수여), The REAL Entrepreneurship Caravan(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강좌, 대학캠퍼스에
일시적으로
만들어지는
허브), The REAL center(위험을
감수하고
창조적인
아이디어, 혁신적인
개발을
실험하기
위한
창조센터)
2. Babson Rwanda Entrepreneurship Center (BREC).

2010년 9월 Babson은 르완다의 민간부분연합체와 파트너를
맺고
키갈리(르완다
수도)에 Babson Rwanda Entrepreneurship
Center를
열었다. BREC의 직원은 Babson의
학부
혹은
대학원
과정을 마친 동료들의 2년간의
근무로
이루어진다. Babson의 졸업생, 재학생, 직원, 르완다
내의
기관들과
함께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해
온
BREC 파트너들은 나라의 기업환경을 강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활동해왔다. (http://www.babson.edu/enterprise-education-programs/Pages/Babson-Rwanda-Entrepreneurship-Center.aspx)
3. The Office (책임자: Mr. John Stevers)

The Office는 함께 일하는 공간이다. 기업가, 컨설턴트, 프리랜서, 소기업
경영인, 원거리
직장인
들이
책상공간을
빌리고, 모든
부대시설
이용
비용을
공동으로
분담하는
사무공간이다. The office는 기업가의 열정을 돋우고, 전문가와
기업가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커뮤니티에
참여가
가능하고, 협력하고,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고, 그들의
아이디어를
규모화
하기
위한
필수적인
지식을
모으는
것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http://theofficerw.com)

Akazi Kanoze는 르완다의 청년들에게 도구와 자원을 제공하여 긍정적인 진로를 개발하도록 한다. 이것은 평생 동안 생계를 위한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Akazi Kanoze는 청년들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청년들이 사회에서 생산적인 참여를 위한 더 많은 기회에 접근하도록 하기 위해서 청년과 르완다의 경제, 공공, 민간 섹터의 연결을 만들어 낸다. (http://akazikanoze.edc.org).
5. School Entrepreneurship Network (SEN Rwanda)

School
Entrepreneurship Network (SEN Rwanda) 는 Mugenzi Trust’s Centre for Youth
Entrepreneurship(2011년 설립)의
비영리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학생들을
격려하고
교사들을
지원하여
번성하는
기업가정신
클럽을
만드는
것이다. 이
클럽은
르완다의
다음
세대
기업가를
육성하는
인큐베이터
역할을
한다. 다음
세대
기업가들은
르완다가
2020년 까지 중간소득 경제를
획득하도록
도울
것이다. 현재, 르완다
전역에15개
고등학교에
기업가정신
클럽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그들은
또한
사업아이디어
경진대회를
운영하고
최고의
아이디어를
가진
학생들에게
고급
과정의
기업가정신
훈련
기회를
제공한다. (http://www.senrwanda.co.nr).

Reach for Change는 아동의
권리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강한
바람을
가지고
있거나, 아이들을
위해
세상을
변화시킬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사람, 그리고
열정이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창조를
이끌어
갈
사회적기업가에게
지원금과
인큐베이터
프로그램을
통한
코칭을
제공한다. 그리고 Kinnevik그룹 내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각
분야의
전문가를
연결한다. Reach for Change는 르완다에서 현재
2명의
체인지
리더를
지원하고
있다. ( http://reachforchange.org/rwanda
)
7. BiD Network

BiD
Network의
미션은
신흥
국가
안에서
기업가정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것이다. BiD Network는 신흥시장 안에서
사업을
시작하고
성장시키는
것, 일자리를
창출하고
이
사업을
통해
수입을
만들어내는
것, 개인자본과
사업을
위한
노하우를
동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BiD Network는
향후 5년간
만불에서 5백만불
사이의
자금을
필요로
하는
개도국에서
고도
성장한
사업에
집중한다. 그들은
기업가, 코치, 투자자, 엔젤투자자와
중소기업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http://www.bidnetwork.org/en/countries/rwanda)
8. JCI Rwanda

JCI Rwanda는 4개의 핵심요소를 통해 르완다의 사회적 경제개발을 격려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2004년에 시작되었다. 4개의 핵심요소는 기업가정신, 리더십, 사회책임, 네트워킹이다. 그들의 주된 활동범위는 사업계획서 작성 코칭, 리더십, 네트워킹, 훈련, 르완다의 중소기업과 다른 이들에게 영감을 주는 가장 눈에 띄는 멤버를 인식시키기 위해 시행되는 사업계획경진대회 등이다. (
http://www.jci.cc/local/media/rwanda
).
9. Ashoka (책임자: Mr. Carolien Vis)

아쇼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사회적기업가
네트워크이다. 거의 3,000명의 아쇼카 펠로우가
70개국에
있다. 그들은
시스템을
변화시킬
아이디어를
세계적으로
실행한다. Bill Drayton에
의해서 1980년 설립된 아쇼카는
창업자본과
전문적인
지원
서비스의
제공
그리고, 비즈니스와
사회적
영역을
총망라하여
글로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세상을
변화시키는
것에
헌신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플랫폼을
제공한다. 아쇼카는
사회적기업가정신
분야의
사업을
개시했고, 전세계적으로
활성화된
멀티섹터
파트너를
가지고
있으며, 기업가적인
능력과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끊임없이
내놓고
있다. 아쇼카
펠로우들은
아쇼카
커뮤니티의
핵심으로
남아있다. 그리고
그들의
통찰력은
어떻게
세상이
움직이고
있으며
다음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10. One Acre Fund (책임자: Ms. Robin Farnworth)

One Acre Fund 는 다음과
같은
지원을
통해서
모든
경작지에서
농부의
수입을 2배로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본적인
씨앗과
비료를
위한 80불의
대출
제공, 걸을
수
있는
거리
이내의
사람들에게
올바른
영농투입재
사용
훈련
제공(이것은
극적으로
농가
수익성을 개선시킨다)
농부들이
그들의
수확물을
상당한
수익을
내고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이다. (www.oneacrefund.org).
◐ 르완다의
사회적기업의 전반적인 인상
– 일반적으로
초기단계이나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 많은
국제지원이
초기단계의
인큐베이션에
집중되어있다.
– 500,000불 미만의 ”pioneer gap”이
존재하여
자금이
부족하다.
(pioneer gap: 사업의 초기 단계에 있는 기업에 투자자들의 투자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말함)
◐ 인터뷰가 진행된 르완다의 사회적기업
– 기업명: Gahaya Links (책임자: Ms. Joy Ndungutse)

Gahaya Links는 르완다 전역에 걸쳐 52개의 협동조합에 소속된
4,000명이 넘는 여성 직공 네트워크이다. Gahaya Links는 1994년 발생된 엄청나게 충격적인 르완다
집단
학살 후
지역여성들을
훈련시키기
위해서
설립되었다. 어떻게
직물을
짜는
지, 어떻게
새로운
디자인
기술과
함께
그들의
방직기술을
향상시키는지, 그들의
민족차이를
넘어서서
어떻게
함께
일하는지를
훈련시킨다. (공정무역을
통한
여성경제권강화원칙을
기본으로
하여) (http://gahayalinks.com/)
– 인터뷰내용요약
Gahaya Link는 여성에게 중점을 둔 사업조직이다. 이들은 여성들이 손으로 만든 방직제품을 수출한다. 처음에 25명의 여성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5,000명이 넘는 여성들이 함께하고 있다. Gahaya Link의 꿈은 르완다에서
Gahaya Link가 하고 있는 일을 자랑스러워 하는 것이다. 얼마나 많은 Gahaya Link가 르완다 전역에 있는지 이를 통해 여성들은 그들의 사업을 유지할 수 있고 그들의 자녀와 손녀들에게 이것을 전수해줄 수 있는지를 말이다. 여성도 더 이상 뒤쳐지지 않고 경제적인 영역에서 한 부분을 차지하길 바란다는 Gahaya Link설립자 Joy Ndungutse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ment)란, 수익에 국한하지 않고, 사회와 환경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업이나 기업에 돈을 투자하는 착한 투자방식을 지칭한다. 기존의 착한 투자가 투자자들이 사회나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기업에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었다면, 임팩트 투자자들은 그러한 소극적인 방식을 넘어 사회나 환경문제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업이나 기업을 적극적으로 찾아 이에 장기적으로 투자한다.
** 인클루시브 비즈니스 (Inclusive Business)란 ‘비즈니스를 통한 통합적 발전’을 의미하는 단어로서, 비즈니스의 다양한 단계(value chain)에 현지인을 참여하게 하여, 비즈니스를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접근입니다.
-
향기로운 희망을 품은 자리, [KEPCO 희망카페] 빈자리 카페
- 목록으로
-
희망카페 빈자리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