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소식
[연재] 글로벌드라이브프로젝트 [14] 요르단의 성장가능성 있는 사회적 기업/인클루시브 비즈니스를 발굴하기 위한 미팅
2013.11.27

Jordan scouting meetings of potential Social Enterprises/ Inclusive Businesses
요르단의 성장가능성 있는 사회적 기업/인클루시브 비즈니스를 발굴하기 위한 미팅

  글로벌 드라이브 프로젝트(Global Drive Project)는 2013년 4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우리나라를 시작으로 아시아, 유럽을 거쳐 아프리카 까지 총 3개 대륙, 20여 개국을 탐방하며, 세계 각지의 핵심적인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ment)를 연계할 목적으로 100여개 사회적기업 투자처 및 인클루시브 비즈니스를 발굴하는 프로젝트이다.
 

  스티븐과 머라이어는 이스라엘을 거쳐 인접 국가인 요르단에 도착했다. 역사와 문화를 겸비한 도시답게 많은 유적과 전통을 가지고 있는 국가이다. 특히 우리가 지나간 페트라는 요르단 남서부 내륙 사막지대의 해발 950미터 고원 바위산에 남아 있는 도시유적이다.
 
 
 
 
  페트라는 향료무역으로 이 일대를 장악했던 아랍계 유목민인 나바테아인이 건설한 고대 도시이다. 이전에 이곳은 사막을 지나는 무역상들이 홍해와 지중해를 향해 갈 때에 반드시 거치는 교역의 중간 기착지이기도 했다. 그 지리적 이점 때문에 이들은 사막의 한가운데에 붉은 사암으로 이루어진 바위산 틈새에 도시를 건설하게 되었다. 남아 있는 건축물을 보면 당시 건축 기술이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그만큼 경제적으로 풍족했기에 가능한 일이라 추측해 본다.
 
 
 
 
 
  과연 도시가 있을까 할 정도로 구불거리는 좁고 깊은 골짜기를 따라 한참을 들어간 곳에는 극장과 목욕탕, 완벽한 상수도 시설이 갖추어진 도시가 숨어 있다. 경의로움이 느껴졌다.
 

 
  역사적으로 6세기경 발생한 지진에 의해 도시 전체가 흙으로 묻혀 있다가 19세기 초반에야 재발견된 곳이기도 하다.
 
◐ 요르단의 사회인구학적 통계 자료
 
  인구 : 650만   GDP(PPP) : 370억$ (인당 5,899 USD)
  빈곤선 이하 인구 : 12.5% (2012)   GDP(nom) : 290억$ (인당 4,674 USD)
  실업률 : 12.3%   인플레이션 : 4.8%
  최저 임금 : 월급 268 USD   
  최소대출금리 : 8.5%
  주요 산업 : 의류, 비료, 제약, 관광
  주요수출 : 의류, 제약, 비료
  주요수입품 : 원유, 작물, 기계, 운송 장비
 
 
◐ 요르단의 주요 사회 환경 문제
 – 보건,의료문제
 – 저렴한 주택
 – 장애문제
 – 소외된 지역사회
 – 교육
 – 농촌빈곤
 – 도시와 농촌의 인식차이
 – 청년실업

전반적인 느낌
 – 요르단의 사회적 기업은 초기단계이고, 대부분 NGO처럼 보인다.
 – 요르단의 시장은 일반적으로 무척 작으나, 기술 분야 호황 덕분에 유용한 많은 인재들이 있었다.
 – 일반적으로 사회분야의 경우 국내 주도보다는 외국인 투자에 의존한다.
 
◐ 요르단의 대표적인 사회적기업 및 지원프로그램
 
1. Aramex (담당자 Reem Khouri)
  ARAMEX는 물류 회사이다. ARAMEX는 교육, 청소년역량강화, 기업가정신, 지역사회개발, 긴급구호, 스포츠, 환경에 초점을 맞춘 지속가능한 계획, 프로젝트, 업데이트를 일반대중과 함께 소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특히 교육, 멘토링 및 소외된 지역의 마이크로 비즈니스를 위한 자본을 제공하는 Ruwwad Micro venture Capital Fund를 만들었다. 사회적 기업의 잠재적 엔젤 투자자이면서 동시에 가까운 미래에 사회적기업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2. ImpactSpace (담당자 Zuleyma Bebell)
  미션을 가진 글로벌 임팩트 시장을 강화하기 위한 오픈된 자료와 자원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은 모두가 접근 가능하고 누구든지 유지보수가 가능한 임팩트 시장에 관한 정보를 생산해냄으로써 임팩트 투자를 촉진한다. 
 
 
 
3. Ashoka  요르단에서 아쇼카 펠로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4. Schwab 재단
  사회적기업가를 위한 Schwab 재단은 지속가능한 사회적 변화를 주도하고, 이끌어갈 모델을 지원하기 위해서 지역에 적합하고 국제적 수준에 맞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 인터뷰한 요르단의 사회적기업
 
1. Zikra Initiative
 
 
 
  1) 주요 내용
 
 위치 : Amman, Jodan 책임자 : Mr. Rabee Zureikat 
 수익 : 40K USD 설립연도 : 2007 
 해결해야 할 과제 : 요르단과 중동에서 도시와 농촌 사이에 교육 수준 및 인식차이는 매우 크다.
결과적으로, 오해와 잘못된 인식으로 인한 국내 불안 가능성이 높다.
근방의 시리아와 레바논에서의 갈등을 보면 농촌 / 도시 분할과 같은 자신들 갈등의 뿌리 중 하나를 추적할 수 있다.
 사업모델 : Zikra Initiative (ZI) 는 요르단의 도시와 농촌 사이의 문화 교류 프로그램이다.
ZI는 요르단의 도시 거주민은 농촌으로 데려와 농촌 생활을 체험시키고 농촌의 장인들을 도시로 데려와
자신의 예술적 능력을 입증하는 관광교류 프로그램과 예술 및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사회적 영향력: 도시에 거주하는 5,000명의 요르단인들은 요르단의 농촌생활을 경험하고
농촌 지역사회는 도시 거주민들에게 농촌을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성장단계 : 확장단계 조직 유형 : 사회적기업
 
  2) SWOT 분석
 
 강점(S)
– 강력한 지역사회 지원
– 국제NGO지원의 강력한 네트워크
 약점(W)
– 진입 장벽이 낮다.
 기회(O)
– 기업 및 조직적인 클라이언트로의 확장
– 해외교류 프로그램
 위험요소(T)
– 갈등
– 경기 침체
 
  3) 인터뷰
  
  요르단은 도시와 농촌의 경제적 격차가 심하다고 한다. 이것이 자칫 지역 내에 사회 갈등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을 파악한 Rabee Zureikat씨는 Zikra Initiative를 설립하여 도시 사람들이 농촌 지역을 방문하거나, 농촌 지역 사람들이 도시에서 생활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각 지역의 생활을 경험하고 이해하여, 서로를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사회적 갈등 해결도 사회적 기업에서 그 해법을 찾을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사회적 기업의 확장성이 기대된다. 그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자.



 
 
2. Raneen Media(RM)

 
 
1) 주요 내용
 
 위치 : Amman, Jodan
 책임자 : Ms. Rawan Barakat
 수익 : 100K USD 설립연도 : 2009
 해결해야 할 과제 : 요르단의 공공 교육 시스템은 교육 방법 중에서 암기를 강조한다.
 일반적으로 한 학급은 55~60명으로 이루어져있고 공립학교에서는 창의성과 듣기능력을 교육시키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받은 요르단인들은 비판적 사고능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이 부족하고
이는 기술 불일치와 높은 청년 실업률로 나타난다.
 사업모델 : Raneen Media (RM)는 요르단의 공립학교 패키지 교육 프로그램을 만든다.
이 프로그램은 요르단 아이들 사이의 듣기 능력, 비판적 사고와 창의성을 촉진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사회적 영향력 : 5,000명의 학생들은 RM의 교육 과정을 경험했고, 90개의 학교는 RM의 프로그램을 채택하고
300명의 교사들은 훈련을 받았다.
 성장단계 : 성장단계 조직 유형 : 사회적기업
 
2) SWOT 분석
 
 강점(S)
 – 강력한 네트워크
 약점(W)
 – 저작권 제한
 기회(O)
 – 교육부로의 확장
 위험요소(T)
 – 경기 침체
 – 기술적 진보

3) 인터뷰
 
  시각장애인을 위한 오디오북을 제작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인 Raneen Foundation에서 일하고 있는 Rawan Barakat씨는 요르단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오디오북이 적극적으로 제작되고 있지 않음을 발견하고 자신과 시각장애 아동들에게 책을 읽게 하고 싶다는 강력한 필요성에 의해 이 일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비장애 아동들에게도 유용한 도구가 되었다. 많은 사회적기업이 그렇듯 문제 인식을 가지고 있는 누군가가 그의 뜻을 실현하기 위해 사람을 모으고 기업을 설립해서 활동하고 있다. 이것이 사회적 기업의 출발이라 생각된다. 그녀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자.




3. Ruwwad (담당자 Samar Dudin)
  Ruwwad는 비영리 지역사회 역량강화 조직이다. 이 조직은 청소년 활동, 시민 참여, 교육을 통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여건에 놓인 지역사회들의 소외를 극복하도록 돕고 있다.
 

 
  *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ment)란, 수익에 국한하지 않고, 사회와 환경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업이나 기업에 돈을 투자하는 착한 투자방식을 지칭한다. 기존의 착한 투자가 투자자들이 사회나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기업에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었다면, 임팩트 투자자들은 그러한 소극적인 방식을 넘어 사회나 환경문제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업이나 기업을 적극적으로 찾아 이에 장기적으로 투자한다.
 
  ** 인클루시브 비즈니스 (Inclusive Business)란 ‘비즈니스를 통한 통합적 발전’을 의미하는 단어로서, 비즈니스의 다양한 단계(value chain)에 현지인을 참여하게 하여, 비즈니스를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접근입니다.

<참고 사이트>
1. KOTRA global window http://www.globalwindow.org

번역 : 함께번역하는얼굴들(김수민, 강하늘, 최문선)
  •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