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폐기물협회 – 환경분야 (예비)사회적기업 아카데미 운영
- 2011.09.01
1. 교육 목적
○ 환경분야별, 대상별 맞춤형 교육을 통해 환경분야의 (예비)사회적기업가 육성 및 사회적기업 전문성 증진에 기여하고자 함
2. 교육 개요
○ 교육 기간 : 11. 10. 6(목)~7(금), 11(화)~14(금), 6일간
○ 교육 장소 : SIF교육원(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 교육 인원 : 40명 내외(선착순 모집)
○ 교육 시간 : 총 36시간(6시간/일 × 6일)
○ 주최·주관 : (사)한국폐기물협회
○ 후원 : 환경부, 고용노동부
○ 수강료 : 무료(교재 및 중식 제공)
※ 수강 혜택
– 한국폐기물협회(고용노동부&환경부 지정 사회적기업 환경분야 지원 기관) 협회장 명의 수료증 수여
– 환경분야 사회적기업 인증 컨설팅 지원시 우선 선정하여 지원
○ 교육 대상
– 환경분야 (예비)사회적기업 대표자 및 관계자
– 환경부 등록 비영리 민간단체 대표자 및 관계자
– 환경분야 사회적기업을 준비하는 단체·업체·일반인 등
○ 교육 내용 ※ 세부 교육 프로그램 참고
– 사회적기업 육성법과 환경부 육성정책, 사회적기업의 노무·세무·회계 관리 등
– 환경분야 사회적기업 창업 아이템 발굴 및 창업을 위한 준비요소 등
– 환경분야 사회적기업 유형소개(사례중심)
– 환경분야별(재활용, 청소, 환경교육 및 녹색구매) 사업 동향
– 최신 환경사업 소개(신재생에너지 및 저탄소 녹색마을 사업)
– 현장 견학 : 환경분야 우수 사회적기업
3. 교육 신청 방법
○ 모집 기간 : 11. 9. 1(목) ~ 9. 20(화)
○ 지원 서류 : 참가신청서(첨부파일)
○ 신청 방법 : 이메일(kwaste_se@naver.com) 또는 팩스(02-786-1811) 접수
– 접수 확인 후 개별 공지(9. 29(목) 예정)
※ 참가신청서는 한국폐기물협회 홈페이지(www.kwaste.or.kr) 공지사항을 통해 다운로드 가능
○ 문의 : 한국폐기물협회 사회적기업팀
(Tel : 02-786-1144, E-mail : kwaste_se@naver.com)
○ 환경분야별, 대상별 맞춤형 교육을 통해 환경분야의 (예비)사회적기업가 육성 및 사회적기업 전문성 증진에 기여하고자 함
2. 교육 개요
○ 교육 기간 : 11. 10. 6(목)~7(금), 11(화)~14(금), 6일간
○ 교육 장소 : SIF교육원(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 교육 인원 : 40명 내외(선착순 모집)
○ 교육 시간 : 총 36시간(6시간/일 × 6일)
○ 주최·주관 : (사)한국폐기물협회
○ 후원 : 환경부, 고용노동부
○ 수강료 : 무료(교재 및 중식 제공)
※ 수강 혜택
– 한국폐기물협회(고용노동부&환경부 지정 사회적기업 환경분야 지원 기관) 협회장 명의 수료증 수여
– 환경분야 사회적기업 인증 컨설팅 지원시 우선 선정하여 지원
○ 교육 대상
– 환경분야 (예비)사회적기업 대표자 및 관계자
– 환경부 등록 비영리 민간단체 대표자 및 관계자
– 환경분야 사회적기업을 준비하는 단체·업체·일반인 등
○ 교육 내용 ※ 세부 교육 프로그램 참고
– 사회적기업 육성법과 환경부 육성정책, 사회적기업의 노무·세무·회계 관리 등
– 환경분야 사회적기업 창업 아이템 발굴 및 창업을 위한 준비요소 등
– 환경분야 사회적기업 유형소개(사례중심)
– 환경분야별(재활용, 청소, 환경교육 및 녹색구매) 사업 동향
– 최신 환경사업 소개(신재생에너지 및 저탄소 녹색마을 사업)
– 현장 견학 : 환경분야 우수 사회적기업
3. 교육 신청 방법
○ 모집 기간 : 11. 9. 1(목) ~ 9. 20(화)
○ 지원 서류 : 참가신청서(첨부파일)
○ 신청 방법 : 이메일(kwaste_se@naver.com) 또는 팩스(02-786-1811) 접수
– 접수 확인 후 개별 공지(9. 29(목) 예정)
※ 참가신청서는 한국폐기물협회 홈페이지(www.kwaste.or.kr) 공지사항을 통해 다운로드 가능
○ 문의 : 한국폐기물협회 사회적기업팀
(Tel : 02-786-1144, E-mail : kwaste_se@naver.com)
-
취약계층 서울형 사회적기업에 취업한다
- 목록으로
-
제 3차 문화예술 사회적기업 네트워크 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