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소식
[연재] 글로벌드라이브프로젝트 [13] 이스라엘의 성장가능성 있는 사회적 기업/인클루시브 비즈니스를 발굴하기 위한 미팅
2013.11.19

Israel scouting meetings of potential Social Enterprises/ Inclusive Businesses
이스라엘의 성장가능성 있는 사회적 기업/인클루시브 비즈니스를 발굴하기 위한 미팅

  글로벌 드라이브 프로젝트(Global Drive Project)는 2013년 4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우리나라를 시작으로 아시아, 유럽을 거쳐 아프리카 까지 총 3개 대륙, 20여 개국을 탐방하며, 세계 각지의 핵심적인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ment)를 연계할 목적으로 100여개 사회적기업 투자처 및 인클루시브 비즈니스를 발굴하는 프로젝트이다.

 
  스티븐과 머라이어는 유라시아를 거쳐 지난 9월에 이스라엘에 도착했다. 한국에서 출발한지 5개월 만이다. 이스라엘의 사막 기후와 파란 하늘은 눈이 시릴 정도였다.







◐ 이스라엘의 사회인구학적 통계 자료

  인구 : 800만   GDP(PPP) : 2,490억$ (인당 32,312 USD)
  빈곤선 이하 인구 : 22.5% (2012)   GDP(nom) : 2,410억$ (인당 31,296 USD)
  실업률 : 5.6%   인플레이션 : 3.2%
  최저 임금 : 월급 1,116 USD   평균 임금 : 월 2,545 USD
  최소대출금리 : 2.75%
  주요 산업 : 하이테크 제품, 제약, 화학제품, 석유정제
  주요수출 : 하이테크 제품, 통신, 군사장비, 의약품, 화학제품
  주요수입품 : 원료, 군사 및 국방, 곡물, 소비재


◐ 이스라엘의 주요 사회 환경 문제

 – 가난한 초정통파 커뮤니티의 급속한 확장
 – 소수집단(이스라엘 내의 아랍사회/ 주로 에리트레아와 수단에서의 온 이주난민)으로 인해 야기되는 다양한 문제들.
 – 에너지 자원과 물 부족
 – 비싼 주택 구입 문제
 – 거주 정착지 문제
 – 극심한 빈부격차


◐ 전반적인 느낌

 – 이스라엘은 영국의 방식을 본받아 구조적이고 입법적인 변화를 발전시켜 나가는 일에 착수했다.
 – 중소기업과 시민단체의 경우 은행대출을 받기는 매우 어렵다.
 – 생태계가 발전해 가고 있다.


◐ 이스라엘의 대표적인 사회적기업 및 지원프로그램

1. 이스라엘 벤처 네트워크

(http://www.ivnus.org/ | 책임자: Jackie Goren)

  이스라엘에서 인큐베이션과 투자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임팩트투자기관으로 이 기업은 올해는 탠덤 펀드라 불리는 사회적기업 투자펀드를 시작했다.

1) 이전 사업
 (1) 사회적기업가 펠로우십 프로그램
  멘토링(감독, 지원 및 교육의 기회)을 통해 사회적기업가들을 지원하고 인큐베이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펠로우십 프로그램은 2년간 사회적기업가들이 100% 그들의 시간을 그들의 프로젝트 온 힘을 쏟도록 지원한다. 또한 그들의 프로젝트를 성장, 확장시키고, 지속 가능한 수준으로 이끌어낸다.

 (2) 경제재건계획 (IERI)
  경제재건계획은 2006년 헤즈볼라 폭격에 의해 피해를 입은 이스라엘의 북부 거주민들의 긴급한 요구 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IVN은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했다. 북부의 타격을 받은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여, 대출 및 장기적인 멘토링을 통해 그들의 잠재력을 일깨워 주었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교육시스템을 정상화하고, 새로운 상황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작업계획을 만들었다.

2) 현재 진행 중인 사업
 (1) 소셜벤쳐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기업을 선택하고, 멘토링과 능력개발, 잠재력 높은 벤처들의 재정적 지원을 하는 모델이다. 민간, 공공, 비영리 분야의 선도적인 파트너들 그리고 자원봉사 멘토와 전문가 팀에 의해 시행된다. 2년간 시행되는 이 프로그램은 사회적 벤처들이 자립적인 영속성을 갖게 하고, 수익이 발생하는 사회적기업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2) 탠덤 펀드(Tandem Fund)
  탠덤 펀드는 사회 변화를 위해 혁신을 추구하고 사회적기업 방식의 해법을 추구하는 사회적기업을 후원하고, 지도함으로 지속가능한 사회적 변화와 기회를 만들어내고 있다. 탠덤 펀드는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비즈니스 스탠더드를 적용한 이스라엘 내 최초의 사회적 벤처 펀드로써, 이스라엘과 미국 간에 사회적기업가들과 경영자 간의 네트워크를 확대하는데 지렛대 역할을 했으며, 벤처 지원 활동을 전수하고 있다.

2. The Hub Tel Aviv

(http://www.the-hub.co.il/home-en || 책임자: YoramLavi ,Omri Boral)

  비즈니스와 환경을 위한 교육 기관인 텔아비브대학/아키로브연구소에서는 사회적기업가의 정신을 고취시키고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으며, Howard Feldman교수의 사회적기업가정신 과정이 마련되어 있다.

1) 주요 목적
  허브 텔아비브는 사회적, 환경적, 기술적 혁신을 위한 공간이다. 허브 텔아비브의 목적은 변화와 위험에 맞서려는 의지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모여 사회적 변혁을 이끌어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고 있다. 여기서는 변화를 만드는데 보다 쉽고,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곳에 있는 사람들은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 사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찾고 있는 사회적기업가들, 프리랜서 등이 그들의 삶과 다른 이들의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 뭉치고 발전해 나가고 있다. 모든 사람들이 공유된 공간에서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지식을 나누며, 자원을 공유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소규모의 자본과 간단한 작업을 통해서 사회적 가치를 더하고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3. Tel Aviv Social Enterpreneurship Network(텔아비브 사회적기업가 네트워크) 

(http://www.meetup.com/Tel-Aviv-Social-Entrepreneurship-Network/)

1) 설립 목적
  이 그룹의 목적은 열정적인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것이고, 사회적 영향을 주도하는 혁신가, 벤처투자자, 기업가를 발전시키고, 이스라엘의 사회적기업을 성장하게 하는 것이다.


4. Ashoka-아쇼카 재단

(https://www.ashoka.org/)
1) 설립 목적
  아쇼카재단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사회적기업의 네트워크이다. 전 세계 70여 개국에 3000여 명의 관계자들이 그들의 사회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아이디어들을 실현해 가고 있다. 이스라엘에서는 2009년부터 일하기 시작했다. 


5. 이스라엘 정부

  현재 진행 중인 사업 중에 사회적기업 채권 발행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 채권은 3가지로 발행되는데 소수집단(아랍 커뮤니티, 정통 유대인 커뮤니티, 이민자/난민 커뮤니티)의 실업문제, 당뇨병 등의 질병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되었고, 가까운 장래에 이스라엘 정부에 의해 발행 될 예정이다.


◐ 인터뷰가 진행된 이스라엘의 사회적 기업

1. Beit Issie Shapiro(BIS)

(en.beitissie.org.il/ || 책임자: Mr. Benjy Maor)

1) BIS의 기업 내용
 수익: 2,700,000USD   설립연도: 1980
  해결해야 할 과제: 1980년 이스라엘에 장애 아동에 대한 조기 치료 서비스는 없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심각한 수준의
뇌성마비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형태의 장애에는 충분한 서비스가 제공된다.
  사업모델: BIS는 이스라엘의 장애인(주로 아이들)들을 위해 교육 및 치료서비스를 제공한다(조기 치료 센터, 특수 교육,
통합감각환경치료와 수(水)치료법). BIS는 R&D 및 이스라엘의 다른 센터 훈련에 집중하여 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사회적 영향력: 현재 BIS는 연간 30,000명의 사람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6,000명은 클라이언트, 22,000명은 지역사회
내에서 통합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2,000명은 R&D 및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성장단계: 성숙함   조직 유형: 사회적기업

2) SWOT 분석
 강점(S):
  ● R&D에 강함.
  ● 기업 평판이 좋고, 잘 알려져 있음.
 약점(W):
  
● 50%를 기부자에 의존하고 있다.
 기회(O):
  ● 센터의 확장
  ● 아랍 및 정통 유대인 사회로의 확장
 위험요소(T):
  
● BIS가 자유롭게 그의 지식을 배포한
      이래로 BIS의 역량을 능가하는
      경쟁자들이 있음
  ● 경기 침체

3) 인터뷰
  BIS의 Benjy Maor는 이스라엘 내 장애인을 교육하고 이들의 삶에 도움이 되고자 이 일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장애인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인식 개선과 변화를 궁극적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2. Barkayma (BK) 

(www.barkayma.co.il || 책임자: Mr. Youval Katz)

1) BK의 기업 내용
 위치: Tel Aviv, Israel   책임자: Mr. Youval Katz
  수익: 45,000 USD   설립연도: 2012
  해결해야 할 과제: 키부츠나 협동조합은 20세기 초 이스라엘 건국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집단 사회는 세계화와 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최근 수십 년간 상당히 쇠퇴했다고 볼 수 있다. BK는 이스라엘에서 협동조합의 부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업모델: BarKayama (BK)는 남부 텔아비브 지역의 지역사회 소유의 바/레스토랑 및 커뮤니티센터이다. 또한 텔아비브의
가난한 동네는 이민자와 외국인 노동자가 상당수 그곳에 거주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BK는 환경, 사회 및 민주적인 사회적
가치를 증진시키는 구성원(현재 380명)들에 의해 공동 운영되고 있다.
  사회적 영향력: BK는 현재 380명의 회원이 협동조합의 혜택을 받고 있다.
  성장단계 : 초기단계   조직 유형: 사회적기업

2) SWOT 분석
강점(S)
  ● 다양한 미디어의 지원
  
● 큰 지역사회의 지원
 약점(W)
  ● 선입견이 존재함.
  ● 느린 의사결정
 기회(O)
  ● 스스로 경작을 한다.
  ● 지역사회 활동의 확장
 험요소(T)
  ● 경기 침체

3) 인터뷰
  BK의 운영자인 Katz는 50~60년대의 이스라엘은 초기 협동조합의 형태의 공동사업체를 운영하고 있었으나 많은 변화들이 있었고, 기업은 더 이상 소비자들 이익을 대변하기 않게 되었다고 한다. 이런 문제를 인식하고 사회적인 변화를 원했던 이들이 사회적기업을 설립하고 기업을 소비자가 소유한다면, 기업은 소비자들의 이익 창출을 위해서 일할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BK의 Katz가 생각하는 사회적기업의 필요와 목적을 함께 들어보자.



3. Innovation Africa

(www.innoafrica.org ||책임자:  Sivan Yari)

1) 설립목적
  Innovation Africa (IA)는 이스라엘의 기술을 아프리카로 전달하기 위해 2008년에 만들어졌다. IA는 우간다, 탄자니아, 말라위에서 39가지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그들은 태양열 에너지 마이크로 그리드와 물 펌프를 만들었다. AI는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곳에서 휴대폰 충전서비스를 판매하는 마이크로 비즈니스를 만들었다. 고객은 충전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10-15센트를 지불하면 된다. 5년 동안, AI는 455,000명의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끼쳤고, 6년째에는 그 수가 100만 명에 달할 예정이다. AI는 최근 UN의 특별협의지위를 받았다.

2)인터뷰
  Innovation Africa의 담당자인 Sivan Yaari이다. 그녀는 아프리카에 에너지와 물과 의약품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자금이 필요한데, 이런 자금을 기부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를 태양광 에너지로 충전을 하게하고, 이를 유료화 함으로써 여기서 발생하는 수익으로 아프리카에 지원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그녀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4. Kinetis

1) 설립 목적
  이스라엘의 다수의 사회적기업에 접근할 수 있는 홍보기관으로 홍보와 마케팅을 지원해 주고 있다.

(www.kinetis.org.il || 책임자: AdiKoren)


  *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ment)란, 수익에 국한하지 않고, 사회와 환경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업이나 기업에 돈을 투자하는 착한 투자방식을 지칭한다. 기존의 착한 투자가 투자자들이 사회나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기업에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었다면, 임팩트 투자자들은 그러한 소극적인 방식을 넘어 사회나 환경문제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업이나 기업을 적극적으로 찾아 이에 장기적으로 투자한다.

  ** 인클루시브 비즈니스 (Inclusive Business)란 ‘비즈니스를 통한 통합적 발전’을 의미하는 단어로서, 비즈니스의 다양한 단계(value chain)에 현지인을 참여하게 하여, 비즈니스를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접근입니다.

<참고 사이트>
 
번역 : 함께번역하는얼굴들(김수민, 강하늘, 최문선)
  •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