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싱가포르 사회적기업가 탐방] ① Jack Sim 세계화장실기구 대표
2010.03.19
 

 

    잭심 (Jack Sim, 세계화장실기구 World Toilet Organization)

 

“누구나 깨끗한 화장실을

 

쓸 수 있는 세상을 꿈꿉니다

 

사회적기업가는 대부분 자원이 부족한 상태에서 사회에 필요한 일을 하기 위해 사업을 시작합니다. 상황에 관계없이 꿈을 꾸고, 그것이 세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사회적기업가의 역할입니다. 제한된 자원을 다양한 자원연계하고, 협업 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이러한 활동 시 중요한 것은 이러한 협업과 자원 연계가 우리뿐 만 아니라 파트너 기관에도 성공이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저는 25~40세까지 비즈니스맨으로 살아왔어요. 어느 날 생각했죠. 인생이 80살 까지라면, 이제부터는 사회에 의미 있는 일은 해야 하겠다고요. 마흔까지 저는 제 시간을 돈과 맞바꾸면 살았습니다. 이제부터라도 다른 사람을 위해 의미 있는 일을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세계화장실기구의 잭심 대표는 어린 시절이던 1950년대 싱가포르 슬럼가에서 자랐다. 싱가포르는 교육열이 높은 나라지만 그는 대학교육도 받지 못한 채, 24살부터 자신의 사업체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사업을 하면서 많은 돈을 벌기도 했지만, 단순히 돈을 버는 일은 그에게 큰 의미로 다가오지 않었다. 마흔 살이 되던 해 그는 하던 일을 그만두고 세계의 화장실을 혁신하는 일에 뛰어들게 되었다

어느 날 신문에서 고척동(Goh Chok Tong) 수상이 싱가포르 공공화장실의 깨끗함에 대해서 감사해야 한다고 했을 때, ‘, 이거구나싶었어요. 싱가포르의 공공화장실처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깨끗한 화장실을 만드는 것, 그게 제 남은 인생 동안 해야 할 일이라고 여기게 되었습니다. 그리고는 곧바로 활동에 들어가 1998년 싱가폴 화장실 연합을 설립했어요. “

사람은 누구나 하루 평균 6번 화장실에 갑니다. 그런데 전 세계 인구 중 40% 25억 명이 제대로 된 화장실 없이 을 처리하고 있어요. 25억 명 인구가 화장실 없이 생활한다는 것은 비즈니스 기회로 봐야 합니다. 5인 가족으로 단순 계산해도 화장실 5억 개를 판매할 수 있죠. 직장이나 시장, 종교기관 등까지 모두 합하면 실질적으로 1조 달러가 되는 시장이에요.”

세계에 있던 화장실 관련 단체를 연합 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1999년 일본 동경에서 열렸던 아시아태평양 화장실 심포지엄에 참가 했어요. 당시 15개국이 참가했었는데, 저는 이 심포지엄을 다음 회 차에 싱가포르에서 열수 있도록 대표자들을 설득했습니다. 이 때, 저는 세계에 화장실 개선 관련활동을 하는 대표기구가 어디에 있냐고 물었더니 없다는 거에요. 이때 심포지엄 주최측이었던 일본은 언어 문제로 대표기구로 나서기 어렵다고 얘기했고, 그래서 제가 싱가포르에 화장실 관련 활동의 서비스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한 세계화장실기구(WTO)를 싱가포르에 설립하는 것을 제안했습니다.”

이 일을 계기로 그는 2001 WTO를 창립하고, 2005년에는 세계화장실대학(WTC)을 설립하였다. 후일 아태화장실 심포지엄은 세계화장실정상회의(WTS)”으로 논의를 이어가게 되었고, 저희의 창립일에 맞춰 세계화장실의 날(11 19)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세계화장실기구는 2002년부터 해마다 이어져 대한민국(수원) INSERT INTO Active (seq, Title, contents, listContents, viewcnt, regDate1) VALUES 대만(타이페이) INSERT INTO Active (seq, Title, contents, listContents, viewcnt, regDate1) VALUES 중국(북경) INSERT INTO Active (seq, Title, contents, listContents, viewcnt, regDate1) VALUES 영국(벨패스트) INSERT INTO Active (seq, Title, contents, listContents, viewcnt, regDate1) VALUES 러시아(모스코바) INSERT INTO Active (seq, Title, contents, listContents, viewcnt, regDate1) VALUES 인도(뉴델리) INSERT INTO Active (seq, Title, contents, listContents, viewcnt, regDate1) VALUES 마카오, 싱가포르 등 전 세계에서 열리고 있다.

2004년 그는 싱가폴 환경국으로부터 2012년 싱가포르 환경계획상(Green Plan Award)을 받았다. 그는 또한 아쇼카 팰로우(Ashoka Global Fellow)로 선정되었으며, 2008년 타임지가 선정한 환경을 위한 영웅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세계화장실기구 자체는 많은 자원을 가지고 있지 않아요. 상호 미션의 조율을 통해 다른 기관의 활동 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이 우리의 임무입니다. 기부만으로는 화장실을 제대로 갖추고 있지 않은 전 세계 25억 인구에게 적절한 위생을 담보할 수 없어요. 많은 자원을 연계하는 것이 저와 세계화장실기구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민간 기업, 정부, 은행, 마이크로파이낸스기관, 유엔 산하 여러 기구, 학교를 움직여 위생에 관련한 시장에 진입하도록 힘쓰고 있습니다

세계화장실기구지부는 창립 초기 15개에서 현재 200개로 늘어났으며, 이러한 지부를 통하여, 화장실 위생 관련한 지식 공유, 브랜딩, 미디어 홍보, 자원연계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아체특별구, 스리랑카, 중국 등지에 화장실 관련 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일들은 세계화장실기구 자체 인력만으로는 어렵다. 세계화장실기구의 풀타임 직원은 **명에 불과하여 세계화장실기구의 프로그램 이행을 위해 지역 파트너와 긴밀하게 일하고 있다. 현재 캄포디아에서는 USAID와 함께 일하고 있는 중이다.

필요한 시점에 함께 일 할 꼭 맞는 그룹을 찾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세계화장실기구 2008년 중국 정부가 베이징 올림픽 개최 전에 세계화장실기구가 제안한 화장실 표준()을 채택하고 거기에 맞게 화장실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중국 정부에게는 올림픽이 큰 자극제가 되었습니다. 화장실 표준을 채택하고 중국에 방문하는 손님들이 화장실 사용에 문제가 없도록 화장실을 개조했습니다. 기회를 포착하고 그 기회를 다른 자원과 연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는 싱가폴 환경국과의 협의를 통해 화장실 규약을 개정하기도 했다. 이 규약에 따라서 싱가폴 정부는 화장실 개수를 정비하였고, 2005년부터는 공공 화장실을 가기 위해 줄을 서야 하는 불편함도 많이 줄어 들었다. 세계화장실기구는 현재 싱가포르에서 시행되고 있는 이 규약을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려고 한다. 이 확산 작업을 위해서는 미국 국제법규위원회(ICC; International Code Council)과 협업 중에 있다.

 

 

 

  • 목록으로